특허 상표이야기/특허 상표뉴스

창의경제 구현을 위한 「지식재산 강국 실현전략」을 수립·추진

인증원 2009. 8. 4. 11:09

창의경제 구현을 위한 「지식재산 강국 실현전략」을 수립·추진

- "창의자본(Invention Capital)" 조성(5년간 5천억원 목표) 및 지식재산 사업화 촉진

□ 우리나라가 “창의성이 존중되는 사회구현”과 “지식기반의 고부가가치 경제로의 전환”을 통해 “지식재산 선진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전략이 마련됨

ㅇ 29일(수),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위원장 강만수)는 이명박 대통령 주재하에 열린 제15회 국가경쟁력강화회의에서 국무총리실과 대법원을 비롯한 정부 13개 부처·기관이 공동으로 수립·작성한 「지식재산 강국 실현 전략」을 보고하고, 강력히 추진키로 함

□ 「지식재산 강국 실현전략」에서는 “국가 지식재산시스템 혁신을 통한 창의경제를 구현”함으로써 우리나라가 “지식재산 선진강국”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① 지식재산의 창출 및 활용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창의자본(Invention Capital)” 조성, 기술  지주회사 활성화 등 지식재산 사업화 촉진, 연구자 및 창작자에 대한 보상체계 강화를 추진하고,

② 지식재산 중심의 사회·경제적 기반 마련을 위한 방안으로 국내외 지재권 보호 강화, 지식재산 기본법 제정 및 특허소송 관할제도 개선 등 지식재산 행정 및 사법체계 선진화 방안을 보고

□ 「지식재산 강국 실현 전략」의 추진 배경

ㅇ ‘90년대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지식재산이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되는 지식기반 경제로 전환됨에 따라

- 선진기업들은 핵심지식의 축적·개발·활용에 집중하는 지식재산 전략을 추진하여 지식기반 글로벌 경쟁체제에 대응

- 세계 주요국 정부는 지식재산 전략을 국가발전의 핵심정책으로 추진

ㅇ 우리나라도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통하여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지식기반의 고부가가치 경제로의 전환이 필요

- 지식재산을 우리 경제가 고부가가치 구조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적극 활용

- 이를 위해서는 창의사회로의 전환 및 지식재산의 창출·활용을 통한 생산성 향상 필요

ㅇ 반면, 우리의 지식재산 환경은 양적 측면에서는 세계적 수준이나, 질적 수준은 미흡하고, 보호ㆍ정책 인프라도 부족한 현실

* 우리나라 특허출원은 세계 4위(‘08년, 18.5만건), 저작권 시장규모는 9위

* 기술무역수지비율(=수출/수입, ‘07년) : 일본 3.49, 미국 2.12, 한국 0.43

* 지재권 보호순위(IMD,'09년):핀란드(1위),일본(11위),미국(12위),한국(33위)

ㅇ 이에, 지식기반의 창의경제 구현을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라는 지식재산 강국 실현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을 제시

□ 금번에 보고된 전략에서는 지식재산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하여 3개부문 11개의 중점 추진과제를 제시

ㅇ 첫째, 「지식재산의 경제ㆍ산업적 활용 촉진」을 위해 지식재산 창업 활성화와 금융 시스템 구축, 사업화 촉진 전략 등을 제시

ㅇ 둘째, 「글로벌 수준에 맞는 지식재산 법ㆍ제도 마련」을 위해 지식재산기본법을 제정하고, 親기업적 지식재산 사법제도 마련, 공정한 거래질서 확립 및 특허제도 선진화 등을 추진

ㅇ 셋째, 「지식재산 관련 인프라 선진화」를 위해 지재권 보호 및 집행 강화, 지재권 분쟁 대응 체제 구축, 지식재산 친화적 사회기반 형성, 지식재산 정보 인프라 마련 등을 제시

□ 중점 추진과제의 주요 내용

① 연구자 보상 강화 및 지식재산의 매입ㆍ권리화ㆍ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창의자본(Invention Capital)”을 조성하고 민관합동 지식재산관리회사 설립을 추진

* 창의자본(Invention Capital) : 아이디어/특허권을 매입 후, 부가가치를 높여 지식을 필요로 하는 기업에 라이센싱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자본  

- 이를 위해 ‘09년 200억원 규모의 창의자본을 기업 주도로 설립ㆍ운영할 수 있도록 시범사업(정부지원 50억원)을 추진하고,

- ‘10년 새로운 지식재산 비즈니스 모델 확립을 위해 창의자본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며, ’11년이후 민관 공동출자 형태의 지식재산관리회사(5년간 최대 5천억원 목표) 설립을 추진

② 우수 지식재산을 보유한 「대학·공공연구소」 등의 기술지주회사 설립 활성화를 위해 설립요건 완화, 사업영역 확대 등 제도를 개선*하고, 우수 기술지주회사를 선정하여「기술가치평가-컨설팅-사업화기술개발-투자연계」를 일괄 지원(‘13년까지 200억 목표)

* 설립시 기술현물출자 비율 50→20%, 사업영역에 직접사업화, 펀드 결성ㆍ운용 가능

③ 국가 R&D 예산중 사업화 예산비중을 ‘08년 0.7%*에서 ’13년까지 3% 수준으로 확대하고, 지식재산 대형 사업화 연계기술개발(R&BD)을 신설**하여 지식재산 이전ㆍ활용의 효과성 극대화

* 정부 R&D 예산은 매년 10%정도 증가하고 있으나(‘99~‘08년간 평균 12.7% 증가), 기술이전·사업화 예산비중은 오히려 감소(‘07년1.1%→‘08년0.7%)

** R&BD 예산(‘09년 110억 → ’11년 1,900억), 규모(소형(7.5억) → 중ㆍ대형(25억))

④ 범정부 지식재산 정책을 총괄 조정하는 국가 지식재산위원회를 설립하고 지식재산기본법 제 정을 추진

- 이를 위해 국무총리실에 지식재산 전담기획단을 설치하고, 유관부처 및 기관들이 참여하는 지식 재산정책협의회를 운영

⑤ 지식재산 분쟁 관련 기업의 경영리스크 경감을 위해 소송 관할제도를 개선하여 전국 일반법원 에서 분산 처리되고 있는 지식재산 침해사건의 1심과 항소심에 대한 관할을 특허 법원 등 주요 법원으로 집중하는 방안을 추진

* 미국ㆍ일본 등은 특허소송(기술사건)의 관할을 집중

- 미국 : (1심) 연방지방법원, (2심) 연방순회 항소법원 등

⑥ 연구자와 창작자에 대한 보상체계 혁신을 위해 공공 소프트웨어 개발시 개발업체의 개작ㆍ복제 ㆍ배포 등 상업적 활용이 가능토록 제도를 개선(‘09.12월)

- 아울러 콘텐츠 창작기업의 불공정 수익배분에 대한 제재방안을 마련하고, 외주제작사와 방송사업자간 합리적인 거래관행이 정립될 수 있도록 불공정사항에 대한 시정권고 조치를 시행할 예정

⑦ 세계 주요 특허 5개국(한·미·일·유럽·중)간 “특허심사 국제공조체제” 구축 추진 등 특허제도를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도록 선진화하고, 국제제도 형성을 선도하여 우리기업에 우호적인 지식재산 환경을 조성

⑧ 지식재산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국경조치 대상을 확대(저작권ㆍ상표→특허ㆍ지리적표시)하고 단속인력 증원 및 유관단체 협력 증대 등 위조상품ㆍ저작물 단속 강화

- 또한 온라인 위조상품 상시 모니터링 신고체계 및 불법복제물 자동검색시스템을 구축하고(‘09.12월) 저작권 포렌식 센터를 운영(‘10.6월)

⑨ 지재권 관련 분쟁 대응을 위해 해외 진출기업에 대한 현지 지재권 지원 서비스를 강화(IP-Desk 7개→10개소, Copyright Center 2개→4개소로 설치 확대)하고

- 특허분쟁 예보시스템 및 민간전문가 자문시스템 구축, 지재권 소송보험 본격 실시(‘09.12월) 등 특허분쟁 대응체계 구축

□ 창의적이고 지식재산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재 양성을 위해 지재권 전문학위과정 개설 및 기술경영 전문대학원 설립(‘10년)

- 창의적 소수정예의 발명영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지식재산기반 영재기업인으로 육성(특허청·KAISTㆍPOSTECH이 공동 선발(‘09년 150명)

□지식재산 정보 인프라 구축을 위해 실시간 저작권 정보 등록ㆍ변경이 가능한 디지털저작권 거래 소 기능을 활성화하고,

- 全국가기관의 기술이전ㆍ사업화 정보망, 민간포털 및 오프라인, 국제 네트워크(유럽 44개국 등이  가입한 EEN 등)를 통합ㆍ연계한 국가기술사업화 종합정보망을 금년내 구축

□ 「지식재산 강국 실현 전략」에 거는 기대

ㅇ 「지식재산 강국 실현 전략」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해 지식재산 국제경쟁력을 향상하고, 국민 경제 활성화에 기여

- 기술수출 활성화를 통하여 기술무역 수지비율 개선*과 아울러 지식재산 보호순위 또한 15위 수준(‘08년 37위)으로 개선 기대

* 기술무역수지비율(기술수출/기술수입) : (‘07년) 0.43 → (’12년) 0.79

- 현재 9위인 저작권 산업규모가 세계 5위 수준(100조원 규모)으로 상승하고 지식기반제조업의 생산성 증대로 7조원의 GDP 초과 증대 기대

ㅇ 한편,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식재산 정책강화에 따라 GDP 104조원 증대, 58만명 고용유발 등의 효과도 예측된 바 있음
   
발췌:집현전특허사무소(http://www.bco.co.kr/) 특허상표무료상담전화(주간02-525-8987,야간및공휴일0505-581-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