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사건의 소는 어디에 제기하나요?
소액사건재판은 지방법원 및 지방법원지원, 시(市)ㆍ군(郡)법원에 제기합니다.
소는 피고의 보통재판적이 있는 곳의 법원에 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어음ㆍ수표 지급지의 법원, 불법행위지 등의 법원에 제기할 수도 있습니다.
소액사건재판을 제기할 법원
소액사건의 소는 지방법원 및 지방법원지원, 시(市)·군(郡)법원에 제기하여야 합니다.
- 소액사건재판은 지방법원 및 지방법원지원, 시·군법원이 관할합니다(「소액사건심판법」 제2조제1항, 「법원조직법」 제34조제1항제1호).
※ 시·군법원의 관할구역 내의 소액사건은 시·군법원에 소를 제기해야 합니다.
※ 시·군법원의 명칭 및 소재지는 「각급 법원의 설치와 관할구역에 관한 법률」 별표 2에서, 시·군법원의 관할구역은 「각급 법원의 설치와 관할구역에 관한 법률」 별표 7에서 각각 정하고 있습니다.
피고의 보통재판적이 있는 곳의 법원에 제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소는 피고의 보통재판적이 있는 곳의 법원이 관할합니다(「민사소송법」 제2조).
· 사람의 보통재판적은 그의 주소에 따라 정합니다. 다만, 대한민국에 주소가 없거나 주소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거소(居所)에 따라 정하고, 거소가 일정하지 아니하거나 거소도 알 수 없으면 마지막 주소에 따라 정합니다(「민사소송법」 제3조).
· 법인, 그 밖의 사단 또는 재단의 보통재판적은 이들의 주된 사무소 또는 영업소가 있는 곳에 따라 정하고, 사무소와 영업소가 없는 경우에는 주된 업무담당자의 주소에 따라 정합니다(「민사소송법」 제5조제1항).
· 외국법인, 그 밖의 사단 또는 재단의 보통재판적은 대한민국에 있는 이들의 사무소·영업소 또는 업무담당자의 주소에 따라 정합니다(「민사소송법」 제5조제2항).
다음의 경우에는 피고의 보통재판적이 있는 곳이 아닌 곳(특별재판적)의 법원에도 소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 사무소 또는 영업소에 계속하여 근무하는 사람에 대하여 소를 제기하는 경우에는 그 사무소 또는 영업소가 있는 곳을 관할하는 법원에 제기할 수 있습니다(「민사소송법」 제7조).
- 재산권에 관한 소를 제기하는 경우에는 거소지(居所地) 또는 의무이행지의 법원에 제기할 수 있습니다(「민사소송법」 제8조).
- 어음·수표에 관한 소를 제기하는 경우에는 지급지의 법원에 제기할 수 있습니다(「민사소송법」 제9조).
- 대한민국에 주소가 없는 사람 또는 주소를 알 수 없는 사람에 대하여 재산권에 관한 소를 제기하는 경우에는 청구의 목적 또는 담보의 목적이나 압류할 수 있는 피고의 재산이 있는 곳의 법원에 제기할 수 있습니다(「민사소송법」 제11조).
- 사무소 또는 영업소가 있는 사람에 대하여 그 사무소 또는 영업소의 업무와 관련이 있는 소를 제기하는 경우에는 그 사무소 또는 영업소가 있는 곳의 법원에 제기할 수 있습니다(「민사소송법」 제12조).
- 불법행위에 관한 소를 제기하는 경우에는 행위지의 법원에 제기할 수 있습니다(「민사소송법」 제18조제1항).
- 부동산에 관한 소를 제기하는 경우에는 부동산이 있는 곳의 법원에 제기할 수 있습니다(「민사소송법」 제20조).
- 등기·등록에 관한 소를 제기하는 경우에는 등기 또는 등록할 공공기관이 있는 곳의 법원에 제기할 수 있습니다(「민사소송법」 제21조).
※ 위의 특별재판적 이외에도 지적재산권 등에 관한 특별재판적, 상속·유증 등의 특별재판적 등이 있습니다.
※ 고등법원·지방법원과 그 지원·가정지원의 관할구역은 「각급 법원의 설치와 관할구역에 관한 법률」 별표 3에서, 시·군법원의 관할구역은 「각급 법원의 설치와 관할구역에 관한 법률」 별표 7에서 정하고 있습니다.
※ 각 지역별 법원 및 그 관할구역은 서울중앙지방법원 - 정보광장 또는 대법원 - 정보광장 - ‘전국법원/등기소 위치정보’에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합의관할
- 당사자는 합의로 제1심 관할법원을 정할 수 있습니다(「민사소송법」 제29조제1항).
· 이 합의는 일정한 법률관계로 말미암은 소에 관하여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민사소송법」 제29조제2항).
변론관할
- 피고가 제1심 법원에서 관할위반이라고 항변하지 않고 본안에 대하여 변론하거나 변론준비기일에서 진술하면 그 법원은 관할권을 가집니다(「민사소송법」 제30조).
전속관할
- 전속관할이 정하여진 소에는 「민사소송법」 제2조(보통재판적), 「민사소송법」 제7조부터 「민사소송법」 제25조까지(특별재판적), 「민사소송법」 제29조(합의관할),「민사소송법」 제30조(변론관할), 「민사소송법」 제34조(합의관할)를 적용하지 않습니다(「민사소송법」 제31조).
※ 전속관할이 정하여진 소의 예로는, 할부계약에 관한 소(「할부거래에 관한 법률」 제16조), 통신판매업자와의 거래에 관련된 소(「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36조),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의 적용대상인 특수판매업자와의 거래에 관련된 소(「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제46조) 등이 있습니다.
관할의 표준이 되는 시기
- 법원의 관할은 소를 제기한 때를 표준으로 정합니다(「민사소송법」 제33조).
이송(移送)
- 관할위반에 따른 이송
· 법원은 소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관할권이 없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결정으로 이를 관할법원에 이송합니다(「민사소송법」 제34조제1항).
- 재량에 따른 이송
· 지방법원 단독판사는 소송에 대하여 관할권이 있는 경우라도 상당하다고 인정하면 직권 또는 당사자의 신청에 따른 결정으로 소송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같은 지방법원 합의부에 이송할 수 있습니다(「민사소송법」 제34조제2항).
※ 다만, 전속관할이 정하여진 소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않습니다(「민사소송법」 제34조제4항).
- 지방법원 합의부는 소송에 대하여 관할권이 없는 경우라도 상당하다고 인정하면 직권으로 또는 당사자의 신청에 따라 소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스스로 심리·재판할 수 있습니다(「민사소송법」 제34조제3항).
※ 다만, 전속관할이 정하여진 소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않습니다(「민사소송법」 제34조제4항).
- 손해나 지연을 피하기 위한 이송
법원은 소송에 대하여 관할권이 있는 경우라도 현저한 손해 또는 지연을 피하기 위하여 필요하면 직권 또는 당사자의 신청에 따른 결정으로 소송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른 관할법원에 이송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속관할이 정하여진 소의 경우에는 이송할 수 없습니다(「민사소송법」 제35조).
발췌:집현전법률사무소(http://www.jhjlaw.co.kr) 법률상담(주간02-581-1045,야간및공휴일0505-581-1045)
'법률이야기 > 법률무한검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액사건의 소를 제기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요? (0) | 2009.05.21 |
---|---|
소액사건의 소송은 본인이 직접 해야만 하나요? (0) | 2009.05.21 |
소액사건의 소 제기는 어떻게 하나요? (0) | 2009.05.20 |
소송을 제기하기 전에 민사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0) | 2009.05.20 |
소액사건재판의 관련 법령은 무엇인가요? (0) | 2009.05.19 |